linux 명령어 fstab
파일 시스템에 대한 고정적인 정보 저장하기.
$ fstab
Linux 파일 fstab
파일 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한 설정 파일
1. 자세한 설명
/etc/fstab
파일은 Linux 시스템에서 부팅 시 파일 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. 여기에는 디스크 파티션, 파일 시스템 유형, 마운트 지점, 마운트 옵션 등이 포함됩니다. 관리자는 fstab
파일을 수정하여 시스템에 연결된 장치가 올바르게 마운트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2. 사용법
- 현재 fstab 파일 보기
cat /etc/fstab
fstab
파일의 내용을 확인합니다. - fstab 파일 수정
sudo nano /etc/fstab
텍스트 편집기로fstab
파일을 열어 설정을 변경합니다. - fstab 설정 적용
sudo mount -a
fstab
에 정의된 모든 항목을 다시 마운트합니다.
3. 자세하게 설명
fstab
파일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포함하며, 각 항목은 탭이나 공백으로 구분됩니다:
- 장치: 파일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UUID, 라벨, 또는 장치 이름.
- 마운트 지점: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될 디렉터리 경로.
- 파일 시스템 유형: 예를 들어, ext4, xfs, nfs 등.
- 마운트 옵션: 읽기/쓰기 모드, 사용자 권한 등.
- 덤프 옵션: 백업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.
- 파일 시스템 체크 순서: 부팅 시 파일 시스템 무결성 검사를 위한 우선 순위.
4. 자세한 명령어 사용법
다음은 fstab
파일을 사용하는 다양한 예제입니다:
# 현재 fstab 파일 보기 $ cat /etc/fstab # fstab 파일 편집 $ sudo nano /etc/fstab # UUID로 장치를 마운트 $ blkid # 결과에서 UUID 확인 후 fstab에 추가 UUID=1234-ABCD /mnt/data ext4 defaults 0 2 # 장치를 수동으로 마운트하고 fstab에 반영 $ sudo mount /dev/sdb1 /mnt/data $ echo "/dev/sdb1 /mnt/data ext4 defaults 0 2" | sudo tee -a /etc/fstab # fstab 변경 내용 즉시 적용 $ sudo mount -a # 스왑 공간 추가 $ sudo fallocate -l 1G /swapfile $ sudo mkswap /swapfile $ echo "/swapfile none swap sw 0 0" | sudo tee -a /etc/fstab $ sudo swapon -a # NFS 파일 시스템 추가 192.168.1.100:/shared /mnt/nfs nfs defaults 0 0 # CIFS 네트워크 드라이브 추가 $ sudo apt install cifs-utils //192.168.1.50/share /mnt/cifs cifs username=user,password=pass,iocharset=utf8 0 0 # 오류 발생 시 로그 확인 $ dmesg | grep fstab # fstab을 수정하지 않고 임시 마운트 테스트 $ sudo mount -o defaults /dev/sdb1 /mnt/data # 스크립트를 통해 fstab 파일 자동 관리 #!/bin/bash echo "UUID=5678-EFGH /mnt/backup ext4 defaults 0 2" >> /etc/fstab sudo mount -a echo "fstab 파일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." # 마운트 상태 확인 $ mount | grep "/mnt" # 잘못된 설정 점검 $ sudo mount -a # 오류 발생 시 출력된 메시지 분석 # 특정 디바이스 마운트 해제 $ sudo umount /mnt/data #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 생성 후 설정 $ [ ! -d /mnt/newmount ] && sudo mkdir /mnt/newmount $ echo "/dev/sdc1 /mnt/newmount ext4 defaults 0 2" | sudo tee -a /etc/fstab $ sudo mount -a
위의 예제는 fstab
파일을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고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보여줍니다.
No responses ye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