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명령어 df

파일 시스템의 사용량 확인하기.

$ df
Linux 명령어 df

Linux 명령어 df

디스크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

1. 자세한 설명

df 명령어는 Linux에서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 사용 중인 디스크와 사용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, 시스템 관리자가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필수 도구입니다. 이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.

2. 사용법

  1. 기본 디스크 사용량 확인
    df
    마운트된 모든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 정보를 출력합니다.
  2.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
    df -h
    디스크 사용량을 MB, GB 등의 단위로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합니다.
  3. 특정 파일 시스템 확인
    df [파일 경로]
    특정 파일 시스템에 대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합니다.

3. 자세하게 설명

df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주요 옵션을 제공합니다:

  • -h: 디스크 사용량을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(MB, GB)으로 출력합니다.
  • -T: 파일 시스템 유형을 출력합니다.
  • -a: 모든 파일 시스템(마운트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 포함)을 출력합니다.
  • -i: inode 사용량 정보를 출력합니다.
  • –total: 모든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 합계를 출력합니다.
  • -t [파일 시스템]: 지정된 유형의 파일 시스템만 표시합니다.
  • –exclude=[파일 시스템]: 특정 파일 시스템을 제외하고 출력합니다.

이 명령어는 디스크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시스템 상태를 점검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.

4. 자세한 명령어 사용법

다음은 df 명령어의 다양한 사용 예제입니다:

# 기본 디스크 사용량 출력
$ df

#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
$ df -h

# 특정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
$ df /home

# 파일 시스템 유형 포함 출력
$ df -T

# inode 정보 확인
$ df -i

# 모든 파일 시스템 출력
$ df -a

# 특정 파일 시스템만 표시
$ df -t ext4

# 특정 파일 시스템 제외
$ df --exclude=tmpfs

# 디스크 사용량 합계 출력
$ df --total

# 특정 디렉터리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
$ df /var/log

# 결과를 파일로 저장
$ df -h > disk_usage.txt

# 출력 결과 정렬
$ df -h | sort -k 5 -h

# 디스크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
$ watch -n 10 df -h

# 필터링된 결과 출력
$ df -h | grep "/dev/sda"

# 스크립트를 통해 디스크 사용량 자동 점검
#!/bin/bash
df -h > /var/log/disk_usage.log

#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상태 확인
$ df -h | grep "nfs"

# 디스크 사용량 정보를 JSON으로 변환
$ df -h | jq -R 'split("\n") | map(select(. != ""))'

# 특정 디스크의 공간 부족 여부 확인
$ df /boot | awk '$5 > 90 {print "공간 부족: " $5}'

# 특정 파일 시스템의 용량 초과 경고
#!/bin/bash
df -h | awk '$5 > 80 {print "경고: " $6 " 디스크 사용량이 " $5 "입니다."}'

# 장치 이름 기준으로 필터링
$ df | grep "/dev/sda"

# 결과를 그래픽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저장
$ df -h > data.csv
            

위의 예제는 df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을 보여줍니다.

© 2025 Linux 명령어 설명

Categories:

No responses yet

답글 남기기